프로professional.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거나 그런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프로젝트 내에서 운영담당자의 요구사항이 들어왔다.
현행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정보( 테이블의 컬럼 )는 삭제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사용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정보가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혼선이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프로젝트 제안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확신할 수는 없으나)
해당 요건은 이번 프로젝트의 범주에 있는 내용은 아니었다.
시스템 운영을 위해 요구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필수 요구사항은 아니다.
이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든 소스를 확인하여 각각의 정보들이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해야 하고
그렇게 확인된 정보가 정말 사용하지 않는 것인지 업무적인 재확인도 필요하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까지 영향도가 없는지 확인이 되어야 삭제를 할 수 있는 업무이다.
어찌되었든, 고객사측에서 요청한 사항이었기에 어떻게 처리할지 하루 종일 방법을 고민한 것 같다.
그런데, 같은 팀의 다른 개발자들은 이 내용에 대해 무관심해 보였다.
처리하지 않아도 운영상 문제가 없으며( 현행 시스템이 이 상태로 사용해 왔으므로 )
또 하나하나 위의 작업들을 거치며 확인하지 않으면 찾아내기도 어려울뿐 아니라
이 후 발견되더라도 '미쳐 확인하지 못한 내용이었다'라고 말하고 그 때 처리하면 되기 때문인 것 같다.
나는 모든 일을 함에 있어, 할 수 있고 없고를 명확히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할 수 있어도 하기 싫다면, 핑계를 대서라도 못 하겠다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요구사항을 낸 사람이나, 관리자도 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야 하거나 할 필요성을 느끼고, 할 수 있다면,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이번 요구사항도 사전에 몇 번 언급도 있었고, 무리한 요구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처리할 방법을 고민하고 처리 대상을 도출하여 팀원들에게 공유도 해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받아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지금 내가 몸 담고 있는 이 세계의 Rule이라고 생각한다.
( 물론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다. )
그리고 그에 대한 노동의 대가를 받고 있지 않은가?
그것이 아니라도 본인이 하고 있는 일의 품질quality을 위해서도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진행한 업무의 완성도가 높고 잘 끝난다면, 자부심도 생기고 기분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요구사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지 않는 것은 무엇을까?
일전에 '하향 평준화'라는 표현을 쓴 것처럼, 실력도 마음가짐도 전부 하향 평준화 된 것 같다.
자연스럽게(?)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만 더 손해를 보고 고생을 하게 되는 환경이다.
그래서 더 더욱 일이 하기 싫어지고, 안하게 되는 것 같다.
서로 서로 다른사람들을 욕하고, 핑계를 대면서...
우리는 다들 각자의 영역에서 프로로써 일을 하고 있다.
스스로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나는 '프로' 인가?
'프로젝트 > 프로젝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가 되기 위해... (0) | 2019.06.08 |
---|---|
직업으로써의 'IT개발자' (0) | 2019.06.08 |
하향 평준화된 개발자. (0) | 2019.05.08 |
열심히 일할 것인가?" vs "적당히 일할 것인가? (0) | 2018.11.25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도구(Tools) (0) | 201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