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Win, META시스템 연계를 통한 물리모델 생성하기
프로젝트에서 개발을 하려면, Data를 관리하는 물리모델( 테이블 )이 있어야 합니다.
차세대를 진행하는 은행들은 META시스템을 도입하고 관리합니다.
META시스템은 표준용어를 비롯하여 전사시스템의 모든 부분에 적용이 됩니다.
논리/물리모델의 속성명과 UI 및 온라인 프로그램의 명명규칙 등...
META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사이트의 물리모델 생성프로세스를 알아보겠습니다.

컬럼매핑정의서
AT는 제가 임의로 명명한 "AT컬럼매핑정의서"를 말합니다.
AS-IS vs TO-BE 컬럼매핑정의서를 지칭한 말로, AS-IS와 TO-BE의 컬럼매핑 정보를 엑셀로 관리하는 문서입니다.
( 프로젝트 산출물 중 하나로, 자세한 건 하단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
ER-Win, Accelerator
1. ERD를 그리기 위해 컬럼매핑정의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ER-Win의 일괄등록 양식에 맞춰 문서를 생성합니다.
ER-Win의 Accelerator 기능을 이용하면 ERD 일괄생성이 가능합니다.
( 그림의 영문 철자에 오타가 있네요. Accererator → Accelerator )
2. Accelerator 기능을 이용하여 일괄등록을 하면, 논리/물리 ERD가 생성이 됩니다.
ER-Win에 대해서는 따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이번에도 Accelerator의 기능중 하나인 "Gap 분석"을 통해 META시스템에 등록된 표준용어와 모델을 매핑합니다.
매핑은 "논리명"을 Key로 합니다.( META표준용어는 "한글명(논리명)"이기 때문입니다. )
논리명이 META에 등록된 표준용어이면, "물리명, DataType, 길이" 정보등을 물리모델에 반영합니다.
META의 미등록 용어의 경우, 붉은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 미등록 용어를 META시스템과 연동하여, META시스템 표준용어 등록신청서로 연계할 수 이습니다. )
META SYSTEM
1. 이렇게 작성된 ERD를, META시스템에 등록합니다.
META시스템의 "R9연계모델"을 통해 ER-Win의 모델정보를 META시스템의 DB에 적재/관리합니다.
2. META시스템의 "DDL생성" 기능을 통해 물리모델( 테이블 )을 생성합니다.
절차를 글로 작성하다보니 설명이 너무 어려운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써 보셨거나, 옆에서 본 분들은 대충 이해하시겠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OTL.
로컬에서 환경을 구축하기 어렵다보니... 상당히 애매합니다.
좀 더 쉬게 설명할 수 방법을 찾으면, 수정을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
링크 ☞ Index.컬럼매핑정의서 정의 및 활용하기
링크 ☞ ER-Win 알아보기 - 작성중( ER-Win이 집에 없네요, 시간이 좀 걸릴듯 합니다. )
끝.
'프로젝트 > 프로젝트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페이스, 전문/파일/DB 처리유형 알아보기 (0) | 2020.01.16 |
---|---|
인터페이스, 동기/비동기 거래방식 알아보기 (0) | 2020.01.16 |
전문 관리 시스템( =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 (0) | 2020.01.04 |
온라인 거래 및 구조도 (0) | 2020.01.02 |
계정계, 정보계, DW, 단위업무... 너희들은 누구니?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