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관리시스템( Interface Management System )
MCA, EAI, FEP 등, I/F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문을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이다.
I/F에서 관리하는 전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 구조는 MAC/EAI/FEP 모두 동일하다.
전문의 구성은
① Interface 기본정보를 관리하는 객체와
② 화면에서 전달하는 Source Input전문
③ I/F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매핑(가공)하여 서비스로 전달하는 Target Input전문
④ 서비스 수행후 결과를 전달하는 Target Output전문
⑤ 결과를 매핑 후 화면으로 전달하는 Source Output전문으로 구성된다.
전문통합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전문객체들을 관리하고, 각 I/F시스템( MCA/EAI/FEP )에 배포하는 역활을 한다.
솔루션에 따라 화면과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체를 배포해 주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이트로 NH농협이 있으며, 전문에서 배포된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의 Input컨트롤(=컴포넌트)를 매핑한다.
우리은행의 EIMS의 경우 배포 기능은 있지만 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포는 형상관리( PCMS )시스템을 이용한다.
전문의 구성요소 설명
1. Interface 등록
- 전문을 구성하는 기본정보를 관리한다.
- 송신시스템 정보, 수신시스템 정보, I/F유형 및 설명 등
- 또한 I/F를 구성하는 객체정보인 Source Input/Output, Target Input/Output과
- Source전문과 Target전문 간의 매핑정보를 관리하다.
2. Source Input
-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화면에서 전달하는 값을 의미한다.
- 서비스가 별도의 Business-logic없이 SQL만 호출하고 결과를 Return한다면 SQL의 Input-parameter가 된다.
즉, 화면의 조회조건들이다.
3. Target Input
- 화면에서 전달된 전문을 (서비스 입장에서) 수신받는 전문이다.
- I/F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만 매핑( 또는 가공 )하여 전달 받을 수 있다.
- 일반적으로 Source Input전문과 Target Input전문은 1:1의 구조를 취한다. (필요시 매핑)
4. Target Output
- 서비스가 수행된 후 결과값을 전달하기 위한 전문이다.
- Business-logic이 없을 경우, SQL의 결과로 보면된다.( 단일값, 배열값 모두 가능 )
5. Source Output
- 서비스 결과를 화면에서 수신받기 위한 전문이다.
- Input전문과 같이 I/F시스템에서 매핑( 또는 가공 )하여 전달 받을 수 있다.
각 사이트마다 각기 다른 명칭으로 명명되지만, 하는 역활은 유사하다.
The End.
'프로젝트 > 프로젝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의 필요성 (0) | 2020.12.29 |
---|---|
DNC( Do Not Call ) (0) | 2020.12.28 |
[WRB.20-1] 프로젝트 투입시 가장 먼저 하는 일들 (0) | 2020.09.05 |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성과관리시스템 (0) | 2020.09.03 |
프로젝트 : 인과응보(因果應報)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