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ase1 예제 쿼리에는 Inner-Query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Inner-Query도 1Level의 쿼리와 동일한 SELECT-Query 구조이므로,
지금까지 작성한 파싱 프로그램을 재귀함수로 호출하면 됩니다.
■ Inner-Query 파싱 재귀함수
FROM절을 파싱하는 메소드에, 위와 같이 Inner-Query를 처리하는 부분을 넣었습니다.
항목 내에 SELECT절이 있다면, Inner-Query라고 판별하고, 쿼리를 추출 후 재귀함수를 호출 하였습니다.
재귀함수에 의해 호출된 결과를 쿼리저장 클래스의 Object인 QueryStructure.setObjSub에 넣어 관리합니다.
SELECT절과 WHERE절에 존재하는 Scalar-Query, Sub-Query도 Inner-Query와 마찬가지로
쿼리문을 추출하고, 이를 재귀함수로 호출하면 동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뭔가,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으나, Case1의 예제는 이것으로 종료하고
다른 쿼리 Case를 가지고, 다루지 못한던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며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반응형
'Stud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Apache POI : 엑셀파일 읽기 (0) | 2018.12.02 |
---|---|
[Java] Apache POI : 다운로드 및 설치 (0) | 2018.11.25 |
Case1. 쿼리저장 클래스를 이용한 적재 (0) | 2018.11.18 |
Case1. 파싱한 쿼리를 어떻게 저장하지? (0) | 2018.11.15 |
Case1. <중간 점검> 쿼리 파싱 결과 출력 (0) | 2018.11.12 |